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학교적응의 하위 유형(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아동의 개인적 특성과 가정환경 요인을 검증하는 단기 종단연구를실시하였다. 총 4,72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프로파일을 탐색하기 위해 네 가지 지표(학업성취도, 학교만족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를 모형에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 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적응 하위 유형으로 ‘적응집단(n=3,450, 73.0%)’, ‘교우관계 부적응 집단(n=477, 10.1%)’, ‘학업부진 집단(n=235, 5.0%), ‘학교 및 교사관계 불만 집단(n=564, 11.9%)’이 확인되었다. 이들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집단은 네 가지 지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개인특성 및 가정환경 특성을 토대로 학교적응 프로파일에 나타난 네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을 살펴본결과, 개인적 특성에서 적응집단은 수업태도와 학업성취도면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안정적임을 알수 있었다. 가정환경 특성에서는 아동 개인과 부모의 생각 차이가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연구 결과는 학교적응을 파악할 때, 아동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생태 체계적 변인을 중심으로다양한 각도에서 학교적응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접근이 유용할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기대효과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chool adaptation profile at later school years with LPA (Latent Profile Analysis), and furthermore seek the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variables predicting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oups in school adaption profile. Especially, four indicator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school satisfaction, teacher relationships, and schoolmate relationships are applied to the research of school adaptation profil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 groups such as 'adaptation group', 'maladaptation group of schoolmate relationships', 'group of low academic achievement', 'dissatisfaction group of school and teacher relationships' are verified by LPA researching school adaptation profile at later school years. Secondly, the analysis of personal variabl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4 groups in school adaptation profile shows us that the adaptation group is more stable than other groups in terms of variables such as attitude in class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ly, the analysis of home environmental variables brought us the conclusion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from their parents'. Finally, the importance and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ose conclu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