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정도를 알아보고, 초등학생 어머니의 스마트폰 리터러시가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소재의 초등학교6학년 아동 350명과 어머니 350명 총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SPSS WIN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스마트폰 과다사용의 하위 요인 금단, 내성, 강박/집착. 생활불편/부적응 중 내성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 어머니의 스마트폰 리터러시는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소통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하위요인인 금단, 내성, 강박/집착, 생활불편/부적응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어머니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절한 통제와 개입이 필요하며, 어머니 본인의 스마트폰 리터러시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mart-phone overuse level in the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garding the recent growth in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figure out which influence the smart-phone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s have upon children's smart-phone overuse. This study analyzed by carrying out questionnaire targeting totally 408 people with 204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204 mothers in Seoul and Gyeonggi.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uted using SPSS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mong sub-factors of smart-phone overuse, tolerance scor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The score of smart-phone overuse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abstinence, living discomfort/maladjustment, compulsion/obsession. Second, elementary schoolers' mothers' smart-phone literacy was indicated to have influence upon children's smart-phone overuse.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in mothers' smart-phone communication literacy leads to the higher in abstinence, tolerance, compulsion/obsession, and living discomfort/maladjustment in children's smart- phone over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