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관평가의 대표적 접근법이라 할 수 있는 평가인증 제도가 보육 현장에서의 유용성 측면에서 어떻게 경험되고 인식되고 있는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D시의 보육교직원 169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평가인증 제도의 유용성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결과, 열악한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향상이나 자체 점검 및 개선이라는 측면을 높게 평가한 반면 평가준비로 인한 보육의 소홀, 보육과정의 획일화와 교사의 신체적 피로와 심리적 위축 등에 대한 우려도 상당히 컸다. 이는 문서위주의 평가방법, 짧은 현장관찰의 한계, 평가지표의 적합성 문제 및 일관되지 못한 해석 등의 방법론적 문제와 연계되었으며, 평가결과의 인터넷 공개로 인하여 과도한 경쟁과 갈등으로 문제가 심화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육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의 평가가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관계자들의 열린 소통과 반성적 실행, 어린이집 교사와 학부모가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의미 있게 보육 현장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모형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s to illuminate how utilities of accreditation, a representative approach to institutional evaluation, are experienced and perceived in the field of child care. A total of 169 child care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e participants highly regarded the uplift of low-quality child care centers and internal monitoring and improvements through accreditation, while concerns over neglected child care due to overly heated preparation, homogenized practices, and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tressed-out teachers. These issues were related with paperwork-oriented evaluation method, the brevity of on-site observation to measur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rigidity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as well as inconsistent interpretation. The posting of the accreditation score and problem areas in the web site brought heated competition among child care centers and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The practitioners’ call for more diverse evaluation models that involve teachers and parents in the evaluation process and lead to meaningful improvements suggested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its utilities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