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육ㆍ보육통합 정책체제에 대한 유치원⋅어린이집 원장과 유아교사의 인식 평가를 통해 유보통합정책의 현장 실천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유보통합 정책체제와 관련된 다섯 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D지역, K지역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들 총 2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정(t-test),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보통합 정책체제와 관련하여 기관별, 교사별, 교사 학력별 인식 차이에 관하여 살펴보면 기관별 인식 차이에 대하여 유치원이 어린이집 보다 유보통합체제 중 기관⋅시설 관련사항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보통합 정책체제에 대한 교사별 인식별 차이와 관련하여 기관⋅시설 관련사항, 교육과정⋅운영비 관련사항, 재정 관련사항 모두 교사가 가장 높은 인식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통합 정책체제에 대한 교사 학력별 인식 차이에 관해 살펴 본 결과 기관⋅시설 관련사항에서는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이 높은 인식률을 보였으며 교사자격 관련사항에서는 전문대학 졸업자들이 높은 인식률을 나타냈으며 교육과정(프로그램)⋅운영비 관련사항에서는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이 높은 인식률을 보이고 있으며 재정 관련 사항과 관리감독 관련사항에서는 보육교사 교육원이 높은 인식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보통합 정책체제에 대한 각 영역별 상관관계에 대해 유보통합체제에 관련하여 살펴본 결과 유보통합정책체제의 하위 영역 중 교육과정(프로그램)⋅운영비 관련사항, 재정 관련사항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유보통합체제의 하위 영역들 간에도 대체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보통합체제에 관한 유아교사와 원장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유보통합정책이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인 유보통합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kindergarten D area, K, of the region in research to try and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field practice of retained integration policy by evaluating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kindergarten nursery director of integrated policy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target the total 240 people from director and nursery school teacher. First, in conjunction with reserves integration policy system, looking at the differences of ability-dependent recognition institutional, teacher-specific, teacher, that it appears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stitution, at the facility related matters fo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stitutional I found. It has been found that you are showing a recognition rate highest teacher of all institutions shall be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for each of the retained integration policy system, facility related matters, course, operating costs related matters, financial related matters.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teacher-dependent recognition of the retained system integration polic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format of infant integration policy. Secondly, for the format of the retained integration policy, it was found that in connection with the retained integrated format for the correlation of each regional, it is positively correlated substantially in sub-regions between. This study relates to the kindergarten, kids stay home infant integration Director, teacher,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s on reserve should be reconstituted, in terms of effective integration policy mandate is the basis for a unified policy will be provided as a resourc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olicy, child care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