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기업윤리의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기업윤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업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윤리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업의 정상적인 이윤추구활동(상업적 단계)’, ‘불법적인 기업활동(법률적 단계)’, ‘불법은 아니지만 윤리적으로 비난의 소지가 있는 기업활동(윤리적단계)’, ‘기업이윤의 사회환원(사회적 단계)’의 네 단계로 분류한 다음, 각 영역에 해당하는 총 27개의 다양한 기업활동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기업윤리수준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가운데, 특히 기업이윤의 사회환원에 대한 요구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업의 개별활동에 대한 응답 가운데는 관련 지식의 부족과 사회환경 등의 영향으로 윤리의식에 다소 문제가 있는 것도 있어, 향후의 학교경제교육에서 이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purposes to search implications for business ethics education in school by finding out high school students' expectation level for business ethics in Korea. For the survey, we divide various business activities into four categories; 1)normal business activities 2) legal but ethically criticized business activities 3) illegal business activities 4) contributive activities to society with profit return. Based on this scheme, we propose 27 questions on business activities spectrum which belong to each of four categories. The survey result says that students' general requirement level on business ethics is quite strong in a sense that they are reluctant to allow normal business activities pursuing profit if there are any possibility of criticism in ethical aspects. Students also show quite high level of negative attitudes in category 2) and 3). Among four categories, students show highest expectation level on firm's contributive activities with profit return. In some answers, we can find out students' misunderstanding or lack of economic knowledg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economic education on market economy and business behavior based on the neutral 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