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와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관련 서비스에 대한 중독현상을 행동경제학의 시간선호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시간정도를 통해 중독정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시간할인율을 측정하여 두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청소년들의 중독 혹은 과도한 소비행위를 이해하기 위해 채택한 본 연구의 행동주의적 접근의 강건성(robustness)을 높이기 위해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정성을 설명하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도(social support)’를 측정하여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할인율이 높은 청소년들일수록 인터넷 사용에 대한 중독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재지향적인 학생에게서 인터넷 중독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현실에 비해 미래에 높은 가치를 두는 학생에게서는 인터넷 중독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또한 자신에 대한 부모의 지지도와 친구들의 지지도가 높다고 평가한 경우도 인터넷 중독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시간할인율은 사회적 지지도를 포함한 다른 변인들을 통제한 회귀분석에서도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ferences and internet addiction behavior among 864 teenagers in Seoul, Korea. We measure teenagers' time preferences with the rate of time discount suggested by behavioral economics as well as the rational actor model. To check the robustness of our main explanatory variable, we also controlled the measur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at are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education and psychology to explain adolescent addiction and other impulsive behavior. We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time discount and the risk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time preference variable does remain intact even when we include other control variables as well as the measures of social support. Our results indicate that teens who are present oriented and myopic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in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