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경제학 및 경제교육 교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사범대학 경제학의 범위와 체계를 밝히려는 것이다.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전국 사범대학 경제학 및 경제교육 교수 16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사범대학 경제학 및 경제교육 교수의 경제학 세부 내용 영역에 대한 일치도를 계산하고, 영역별 일치도의 빈도와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경제학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경제학의 기초, 수요/공급 이론, 후생 경제학, 거시 경제학 이론의 기초, 화폐와 물가의 장기적 관계 등은 일치도 90%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미시경제와 국제경제 영역에 대한 일치도보다는 거시경제에 대한 일치도가 매우 높았다. 금융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금융 시장 이론에 속하는 세부 내용 영역에 대한 일치도는 낮았다. 이 연구는 향후 사범대학 예비 경제교사들을 위한 경제학원론을 집필하거나 「일반사회」 중등 임용고사에서 경제학의 출제 범위를 정할 때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in what degree the professors of economics and economic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s (or colleges of education) of Korea would agree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economics for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from this study, which was based on a survey of the sixteen professors of economics and economic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s of Korea, was analyzed with several descriptive statistics. The fundamental sections of economics, such as introduction of economics, supply and demand theory, welfare economics, introduction of macroeconomics, and the long-run relationship of money and prices, comprised contents on which more than 90 percent of the professors agreed. Amongst the professors, the degree of agreement on macroeconomic cont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microeconomic and international economic contents. Despite the fact that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contents of financial market theory received the lowest degree of agre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writing principles of economic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deciding scope and sequence of economics at the PSAT (Public Service Aptitude Test) of social studies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