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구주 빈곤가구와 남성가구주 빈곤가주 간에 빈곤탈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자료 중 4차~8차까지의 총 5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최저생계비 이하의 절대빈곤 상태에 있던 가구가 일정 시점이 지난 후 빈곤으로부터 탈피했는지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다음, 남성가구주 빈곤가구와 여성가구주 빈곤가구에 있어 서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가주구 빈곤가구는 남성가구주 빈곤가구에 비해서 일을 하더라도 빈곤에서 벋어나가기 상대적으로 어려웠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달리 돌봄 노동은 여성가구주 빈곤가구만의 문제가 아니며 남성가구주 빈곤가구와 여성가구주 빈곤가구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문제이거나 남성가구주 빈곤가구에게 있어서 더 큰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가구주 빈곤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건강상태를 증진시키는 것이 빈곤탈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ale-headed households and female-headed household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kelihood of poverty exit. For this goal, we used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The KLIPS data set was subdivided into male-headed household data set and female-headed household data set. Using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 we analyzed the effects of a serie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whether or not a household escaped from poverty and then compared the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latively more difficult for female-headed households to exit from poverty than male-headed households. Second, female householders are less likely to earn enough income to improve the likelihood of poverty exit even if they work. Third, unlike what has been known until now, care giving was found to be a heavy burden for male-headed households as well as female-headed household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female household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kelihood of poverty exit implying that for the female poor, improving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services can improve the chances of escaping from pov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