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생애과정의 변화와 그 사회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애과정 탈정형화는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생애과정의 변화를 포착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교육-근로-은퇴국면으로 이루어진 제도화된 생애과정의 틀은 유지된 채 그 시간구조가 유연화되고 있음을 가리킨다. 생애과정의 탈정형화는 무엇보다도 노동시장 유연화에 따른 구조변화에 기인하며, 그 변화는 정상적 근로관계의 침식으로 요약된다. 생애과정의 탈정형화는 기존의 사회보장체계에 의해 보호될 수 없거나 부분적으로만 보호가 가능한,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욕구를 야기하고 있다. 왜냐하면 기존 사회보장체계는 근로관계 및 가족의 정상성 모델을 전제하고 있는 반면, 새로운 사회적 위험은 그 전제의 침식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사회적 위험과 욕구에 비추어 미래의 사회정책은 적합한 시간옵션과 동시에 그에 조응하는 소득옵션을 통해 사회보장을 지원하는 통합적 해결이어야만 한다. 그것은 근로생애의 연속성을 지원하고 비자발적 비연속성을 방지하는 것이며, 자발적 유연화와 비연속성을 가능하게 하고, 이행을 지원하며, 재정적 자원을 보편주의적으로 재분배하는 것이어야만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social political implications resulted from changes of life course pattern, which is conceptualized with destandardization of life course. This means that the temporal order and standard in life course is flexibilized, whereby the tripartition structure of the institutionalized life course is retained. Destandardization of life course is first of all caused by structural changes of labour market. This changes are resumed in eroding of normal labour relationship, on which the current social policies based. Destandardization of life course caused new social risks, which cannot or restricted can be protected by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 This is because the current social protection system assumes normality of labour relationship and family, while new social risks are related with eroding of this preconditions. Under the consideration of destandardization of life course combined with new social risks, a futures social policy should be a integrated solution with adequate time and income options that support continuity in working life and avoid involuntary discontinuities, that enable desired flexibility and discontinuity, that support transitions, and that reallocate financial resources more universali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