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선진국의 고용보험 전달체계 혁신사례와 여러 선행연구가 제시한 결과를 토대로 고용보험전달체계의 이상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이상적인 모형에 비추어 한국의 고용보험 전달체계를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고용보험은 실업급여 수급자격자에게 실업급여를 지급하는 차원을 넘어 실업급여 수급자 중 장기실업의 가능성이 높은 취약실업자를 조기에 인지하여, 취약실업자가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취업장애요소를 정확하게 진단한 후, 취약실업자의 복합적인 취업장애요소 극복을 지원해주기 위한 고용-훈련-복지서비스의 연계를 통한 개인별 맞춤식 종합고용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실업자 스스로의 적극적인 취업 노력을 유도하는 능동화 조치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고, 민간위탁을 적극 활용하여 고용보험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고용보험 및 노동시장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관련 인프라를 선진화하고 제도를 합리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상적인 고용보험 전달체계의 모형을 기준으로 한국의 고용보험 전달체계를 평가해본 결과 그동안 상당한 성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개선할 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평가에 비추어보면 앞으로 취약실업자의 취업 촉진을 위해 고용보험 전달체계뿐만 아니라 노동시장 전달체계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develops ideal model of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based on benchmark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literature survey, and evaluates and proposes reforming agenda for Korean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The ideal model of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is to identify vulnerable unemployed people who have high probability of long-term unemployment, to identify barriers to employment of each vulnerable unemployed person, to supply individualized and tailored employment services to each unemployed person, and to activate the unemployed. In this point of view,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in Korea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several respects. This article proposes strategy and methods to reform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for Korea.


This article develops ideal model of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based on benchmark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literature survey, and evaluates and proposes reforming agenda for Korean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The ideal model of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is to identify vulnerable unemployed people who have high probability of long-term unemployment, to identify barriers to employment of each vulnerable unemployed person, to supply individualized and tailored employment services to each unemployed person, and to activate the unemployed. In this point of view,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in Korea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several respects. This article proposes strategy and methods to reform employment insurance delivery system for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