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고령화 사회의 중․고령자 인력활용과 재취업 정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자부가조사(2009)를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구직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공공고용기관을 주된 구직방법으로 이용한 중․고령자집단은 연령이 높고 저임금의 단순하위직에 종사하는 취업취약계층이며, 직접방문이나 민간고용서비스 기관을 이용한 집단은 생애 주된 일자리 경력과 관계있는 직업을 가졌으며 전일제 고용을 희망하는 집단이었다.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구직방법으로 이용한 집단은 도시에 살며 상대적으로 젊은 중․고령자 집단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 및 함의는 첫째, 우리나라 중․고령자는 주된 구직방법으로 대부분 개인적 접촉을 통해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공고용서비스 기관의 이용이 낮아 구직 및 재취업서비스의 공공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둘째, 중․고령자가 구직방법을 선택하는 데는 생애 주된 일자리 관련성 여부와 의중임금이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중․고령자의 조기 은퇴를 막기 위해 고용유지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공고용서비스 기관의 주 이용층이 고연령의 단순하위직으로 나타나 다양한 계층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넷째, 개인적 접촉을 통한 구직방법의 활용은 중․고령자의 빈약한 네트워크를 활용한 낮은 고용가능성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이룰 수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연결망 확장이 필요하다. 다섯째, 베이비부머를 비롯한 중․고령층의 구직욕구는 매우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고용 및 재취업 정책이 필요하다.


To acquire basic data for the pre-elderly's manpower utilization and re-employment policy in aging society, this thesis intends to analyze determinants of the pre-elderly's job searching method using Additional Survey of the Elderly,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2009). The pre-elderly group that used a public employment agency as the major job searching method was vulnerable class in higher age.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used direct application and a private employment agency was one re-employed in jobs relating to life-time main job while wanting a full-time employment. The group that used mass media tends to reside in the city with lower age and higher reservation age. The main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 First, it shows that most of the pre-elderly were re-employed through personal contact so raises an important policy task to ensure publicity in job searching and re-employment service. Second, it shows that career and reservation wage were main variables in the pre-elderly's selecting of job searching method so suggests their job retention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to be required. Third, re-employment of the pre-elderly through personal contact means lower quality of re-employment so required to expand network through participation of community. Finally, job searching needs of the pre-elderly including baby boomer are expected to be diversified so required to prepare systemic policies on employment and re-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