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경제․사회에 대한 미시 모의실험 모형인 MMESP(Micro-simulation Model for Economic and Social Policy in Korea, version 1.0)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2007년 연금 개혁의 핵심 내용인 소득대체율의 점진적 인하에 따른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차적으로 소득대체율의 인하가 연금의 지속가능성은 향상시키지만, 적정성을 축소시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동시에 그 영향이 세대와 소득수준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토한 결과, 소득대체율은 저소득계층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공적 연금이 노인 빈곤에 미치는 영향은 지속적으로 커질 것이며, 동 개혁으로 인해 세대 간 재분배 효과는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저소득계층 일수록, 그리고 후세대일수록 2007년 개혁에 따른 부담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developed a micro-simulation model, MMESP (Micro-simulation Model for Economic and Social Policy in Korea, ver. 1.0) to project long term policy effects of the gradual reduction of income replacement rates which was a core measure of the 2007 National Pension System reform. As it was expected, we found that although the income replacement rate reduction improves the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pension fund, it also deteriorates the adequacy of the pension. We also found that this reform has relatively bad effects to low income classes, i.e, making them worse off; that elder generation's poverty problem becomes worse than before; that redistribution effects of public pension in/between generations become worse, compared to the without-reform case; and that burdens both of low income classes and late-comer generations are expected to be heavier than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