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의 은퇴설계에 대한 전사회적인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노후를 경제적, 심리적으로 대비하지 못한 채 은퇴를 하는 사례가 속출하여 사회적인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은퇴설계를 주로 재무적 측면에서 접근해 왔던 과거와는 달리 생활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관점에서의 은퇴설계가 주목받고 있으며, 비은퇴자 대상의 은퇴준비 현황을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비은퇴자의 미래 은퇴생활에 대한 전망과 은퇴자의 실제 은퇴생활에 대한 평가도 또한 은퇴설계의 관심 영역이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생활의 재무적, 비재무적 측면을 종합하고 비은퇴자의 은퇴전망과 은퇴자의 은퇴평가를 모두 나타낼 수 있는 은퇴동향지수를 개발하고 측정하였다. 20대~60대의 비은퇴자 및 은퇴자 1,994명(비은퇴자 1,776명, 은퇴자 218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은퇴동향지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은퇴전망지수에 비해 실제 은퇴생활에 대한 평가인 은퇴평가지수가 훨씬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은퇴전망지수와 은퇴평가지수 간 격차가 재무 영역과 일 영역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그 두 가지 영역에 집중한 은퇴자 복지 증진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교육 수요가 남은 어린 자녀의 존재는 은퇴기 생활만족도를 저해하고 있고, 가구원 수 혹은 자녀수가 많다는 것은 은퇴생활의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절한 소득 흐름과 자산의 보유는 은퇴생활 만족도와 깊은 연관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금융기관, 은퇴설계교육, 정책입안 등에 실용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이 자신의 은퇴설계에서 어느 부분에 집중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Even though the acceleration of social interests and effort for retirement planning, there are still so many people who retire without enough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life. The view to encompass financial and non-financial issues in retirement planning is getting wide attention, and, pre-retirement people's prospect for retirement life and retiree's assessment of their own life are coming into the spotlight as well as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life. Thus, this study developed the retirement sentiment index in all of the components of life which represents the prospect and the assessment for the retirement life.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tirement assessment indexes were much lower than the prospect indexes in most of the components of life, except the components of health and leisure. Second, the gap between the prospect indexes and the assessment indexes were biggest in the components of finance and work. Third, having little children lowered the satisfaction of retirement life, while the number of family member had positive effect for the assessment of retiree's life. And, having proper income and wealth were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life in retirement. Thes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nancial institution, the education of retirement planning, and policy making as well as retirement planning strategies for individual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Retirement, Retirement Planning, Comprehensive Retirement Index, Retirement Sentiment Index, Retirement Prospect Index, Retirement Assessment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