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근로자의 요양 전후 경제활동 변동 및 개인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여성, 저연령 또는 고연령 근로자, 산재장해인의 경우 원직복귀 외에 재취업이나 창업 등을 통해 경제활동에 재진입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 30․40대, 기혼자, 장해가 없거나 경증장해의 경우, 그리고 산재 전 직장에서 정규직, 노조 가입, 사무직일수록 경제활동 참여 및 원직복귀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요양 종결 후 재취업한 경우 이전의 일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재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종은 보다 단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용직의 비중이 감소하며, 임시․일용직의 증가가 나타났다. 근로형태는 전일제 근로에서 시간제 근로로, 사업장 규모는 대규모에서 소규모로 이동하였고, 임금은 감소하였다. 넷째, 개인의 인적 속성, 장해유무 및 장해 정도뿐만 아니라 산재 요양 후 경제활동여부가 자아 존중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경제활동 상태별 자존감을 비교한 결과 비경활, 재취업, 원직복귀의 순으로 자존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정책적 함의 및 산재보험 정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elf-esteem and change in status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using panel data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return-to-work or job reten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age, marital status, ratings of disability, employment status, union membership status, and occupation type. Secondly, the labors, who found another job because they could not return to previous job, had worse employment status and environment than pre-injury workplace. Third,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as affected by whether they work or not. Finally,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pproach was used to compare self-esteem of workers with non-workers,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elf-esteem of workers were higher than non-workers. Prac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proposal were suggested for each type of economic activity status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