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의 건강에 정부재정을 투입하는 정당성으로서 논의되는 경제성장을 위한 투자론에 대한 실증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OECD국가들의 총 의료비 및 정부지출 의료비 등과 GDP와의 관계를 Granger Causality분석과 벡터자기회귀분석(VAR)을 이용하여 실증하였다. Granger Causality 분석결과 GDP와 총 의료비, GDP대비 정부지출 의료비, 정부지출 의료비, 일인당 의료비, 일인당 정부지출 의료비는 서로 쌍방향의 양(+)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격반응 결과 GDP가 총 의료비 및 정부지출 의료비에 주는 영향에 비해 총 의료비와 정부지출 의료비가 GDP에 주는 영향은 더 장기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총 의료비 지출과 정부지출 의료비가 노동생산성과 교육을 통한 인적자본의 축적 등에 직간접 영향을 준다는 기존의 논의를 지지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and the extent to which total health expenditure and (or) government health expenditure has granger causality in OECD countries after economic crisis. This study analyze the data including GDP, total health expenditure, government health expenditure,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government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from 2000 to 2012 of each OECD countries and investigates the Granger-causality relationship between GDP and the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e positive(+) bidirectional Granger-causality not only between GDP and total health expenditure but also GDP and the variables relating governmental health expenditure. A VAR test verifies that governmental health expenditure compared to the total health expenditure has been long-term impact on the GDP. Therefore total health spending as well as the share of government affects directly or indirectly to national economic growth with the possibility of both to enforce the labor productivity and to help accumulating human capi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