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이황의 리발설이 갖는 문제의식과 그것의 해석과정을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퇴계학파에서는 기본적으로 이황의 리발설을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그 시대적 요구와 해석자의 학문체계의 전개과정에서 理發 하나만을 인정하기도 하고 理發氣發을 모두 인정하기도 하는 해석상에 다양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러한 이황학문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은 퇴계학파의 학문체계에 대한 이론적 발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本論文是將李滉的理發說的問題點 對於退溪學派何以解釋出的過程 退以後以100年單位要定理. 第一, 退溪學派的成立初期16世紀末-17世紀初活動的張顯光的‘理發一條說’ 第二, 17世紀後半的李玄逸的‘理發氣發說’ 第三, 作爲18世紀的人物 李象靖的‘相須互發說’ 第四, 作爲19世紀活動 李震相的‘理發一路說’以中心要考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