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아시아 지역에서 만들어진 지역 이름을 단 철학 혹은 철학사의 불안정한 기원을 탐색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우선 중국에서 중국철학사의 탄생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양철학과 대비되어 중국철학이 학문분과로서 탄생하고 사회적으로 권위를 확립해 가는 과정, 그리고 ‘철학’이라는 한자 번역이 중국어로 정립되고 중국철학사라는 이름을 단 저술이 성립하는 과정에서 야기된 혹은 사상된 문제들을 분석하면서 중국철학의 근대적 기원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명말청초 이래로 중국에 건너온 유럽의 선교사들은 필로소피를 중국에 소개했고, 理學, 性學, 格物窮理 등 중국의 학술 전통에 근거한 다양한 한자 번역어를 고안했으며, 智學, 愛智學 등의 의미를 포함한 번역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중국에서 필로소피의 번역은 20세기를 전후하여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 번역어 ‘철학’으로 정착되었다. 일본으로부터 전래된 철학이라는 번역은 기원의 불온성으로 인해 청대까지의 왕조체제 하에서는 금지되었고 중화민국 성립 이후에야 정치적으로 복권될 수 있었다. 복권의 과정은 서양의 철학과 중국의 전통 학술을 등치시키는 방식이었다. 량치차오를 비롯하여, 셰우량, 후스, 루마오더, 중타이, 펑유란 등 20세기 전반기에 중국철학사를 집필한 중국의 지식인들은 서양철학을 염두에 두고서 중국철학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들은 전통적 교육과 근대적 교육을 동시에 받았으며, 세대의 차이로 혹은 시대적 차이로, 전통과 근대 사이의 진폭의 차이를 드러내면서도 각자 근대적인 중국철학사의 텍스트를 만들어 냈다. 중국철학사라는 텍스트 정립 작업이 분과학문으로서 중국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서양철학을 의식하면서 중국의 지나간 철학사를 정립하는데 치중한 결과 현실과 미래를 위한 살아 있는 철학을 제시하지 못하는 곤경에 부딪혔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birth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quiring its instability of origin and establishment as a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First, I reviewed Chinese translations for Philosophy’ from late Ming dynasty, secondly searched for intellectual problems caused by building up the texts on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Since 17th century Jesuit missionaries had devised various Chinese translations on their own terms for the missionary activities, based on the terminology of Confucianism. However, after the 20th century, their goods of idea was changed by the Japanese kanji, tetusgaku(哲學). But the 잭아, tetsugaku, was forbidden due to its impropriety of origin under the rule of Qing Dynasty,Several authors of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Xie Wuliang, Hu Shi, Lu Maode, Zhong Tai, Feng Youlan, could not help being deeply conscious of Western philosophy, still using a term tetsugaku. Although their endeavors could be highly evaluated in the point of finding a possibility of Chinese philosophy, it could also be said their texts also ran into a predicament, because of the underlying dilemma of harmonizing the universality and the particularity, or the West and the Chinese na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