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아평가 도구로서 포트폴리오 평가는 전통적인 측정평가방법과는 달리 교수-학습 상황이라는 자연스럽고 지속적인 맥락 속에서 유아의 발달과 학습 상황을 의미 있게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으로 큰 기대를 받아 왔다. 그러나 모든 교육개혁을 위한 시도에서와 마찬가지로 포트폴리오 평가 또한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과연 유의미하고 효과적으로 실시되며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는지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질적 프로그램 평가라는 방법을 통하여 한 유치원의 포트폴리오 수집 및 활용 과정을 조명해 봄으로써 포트폴리오 평가의 현장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한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사의 자율성 및 전문성 제고와 더불어 교사, 행정가, 학부모가 유아평가에 대한 공유된 이해와 열린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함께 의미를 만들어가지 않는 한 포트폴리오 평가는 단순한 정보 수집 혹은 형식적 의례행위에 그치면서 교육장면에서 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Portfolio assessment, one of the alternative assessment tools used to evaluate development and achievement of young children in natural, everyday teaching-learning contexts, has gained popularity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s with any educational reform initiative, however, there is an urgent need to evaluate the way in which the portfolio assessment is actually implemented and to determine if i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 as a meaningful assessment tool. Through a qualitative program evaluation approach, I examined portfolio assessment processes in a private kindergarten, to illuminate underlying issues involved in the successful use of portfolio assessment. This study finds success of the portfolio assessment requires that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arents build a culture of continuous dialogues and reflection to construct meaning from the portfolio assessment. As well, success depends upon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d autonomy and expertise. Without these, portfolio assessment, like many educational reform ideas, may be doomed to become a meaningless ritual and fade from the educational s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