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틀린믿음과제의 언어적인 요인과 유아의 외현적·암묵적 마음이해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 4, 5세를 대상으로 언어과제와 비언어과제를 피험자 간 변인으로, 외현반응과 암묵반응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실시하였다. 비언어적인 과제는 언어과제에서 음성적인 언어만이 제외되었고, 그 외의 음향은 그대로 삽입하였다. 틀린믿음에 대한 암묵반응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틀린믿음과제를 컴퓨터 화면으로 제시하였으며, 주인공의 행동 및 예측 방향을 응시하는 유아의 눈움직임을 측정하였다. 외현반응은 전형적인 틀린믿음과제 수행측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적인 반응이나 포인팅과 같은 행동적인 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령에 대한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유아의 연령에 따라 틀린믿음과제 수행의 외현반응과 암묵반응이 증가함을 보였다. 외현반응은 5세 이전까지 우연수준 이상의 수행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암묵반응에서는 3세와 4, 5세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과제와 비언어과제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비언어과제가 유아의 틀린믿음을 측정하는데 적합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적 결함을 가지는 유아의 마음이해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he verbal factor in false belief tasks to children's understanding. Verbal false belief tasks and nonverbal false belief task were both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responses in each type of task. Eye gaze, as an implicit response, was contrasted with children's explicit answers to the experimenter's question about where the protagonist would look for an object. In this study, explicit responses to false belief tasks increased with the age of the subject. And above chance-level performance does not appear until 5 years of age. Implicit respons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hildren at 3, 4, and 5 years of age, thus revealing that implicit understanding is expressed before explicit verbal expression. Nonverbal false belief tasks, which researchers anticipated would lessen the cognitive load imposed by verbal expression, had no main effect. This finding, however, proves that nonverbal tasks are appropriate to measure children's false beliefs and can be used with children who have verbal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