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구성주의 유아교실에서 실행된 진자활동에서 그 놀이와 작업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은 어떠한지, 그리고 유아들에게 과학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놀이와 작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살펴본 후 구성주의교실에서의 진자활동을 통해 유아들이 놀이 속에서 작업이 일어나는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는 우선 일련의 진자활동 속에서 유아들이 발견하고 접근해 간 놀이적 특성과 작업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둘째로 진자활동에서 나타난 놀이와 작업의 특성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을 세 단계로 분석했다. 유아들은 구성주의교실에서 진자활동에 대해 처음에는 놀이처럼 접근하면서 흥미를 보였고, 놀이에 대한 흥미를 충분히 만끽한 후에는 놀이 속에서 작업으로의 전환을 보여주었으며, 결국 탐구의 과정이 있는 작업으로 몰입해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일련의 과학활동 안에서 충분한 시간을 들이고, 자신들의 흥미에 따라 활동할 수 있을 때 놀이 속에서 자발적으로 과학하기가 일어나며, 적절한 자료와 교사개입은 이를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로서 본 연구는 구성주의교실에서의 유아과학교육은 단순한 놀이로 끝나서도 안되고 교사에 의해 강요된 작업으로서의 탐구와 실험이어서는 안 됨을 주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ertain aspects of play and work on the pendulum activities in a constructivist classroom and explores children’s reactions to those aspects as a preparatory prelude to presenting teaching principles for play and work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study first examines major theories of play and work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then analyzes cases of play and work found in the pendulum of children’s activities in a constructivist classroom. Central to the study is the analysis of children’s reactions in terms of their interests in play, their transformation of work to play, and their engagement with work. This study proposes that children spontaneously do science when the activities appeal to their interests and when adequate time is provided for investigation and in-depth engagement during a sequence of science activities. The study also notes that adequate materials and appropriate teacher intervention promote children’s engagement i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