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유아교육의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전통사상인 단동치기십계훈의 교육관을 분석하고, 유아교육적 의미를 조명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단동치기십계훈의 아동관은 아동을 하느님을 모신 우주적 존재로 보았으며, 자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을 지닌 존재로 분석되었다. 아동발달은 아동의 본성을 기초로 하여 아동의 힘을 자연스럽게 발현시켜 나가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았다. 단동치기십계훈의 교육목적은 도리를 지킴으로 신인합일 인간상을 추구하였다. 단동치기십계훈의 교육내용은 자기이해, 타인과 조화로운 삶, 도덕적인 삶으로 구성되었다. 단동치기십계훈의 교육방법은 훈시의 의미를 영아의 발달에 적합한 신체와 애착중심의 놀이로 상징화하였다. 단동치기십계훈에서 나타난 양육자의 역할은 애착과 사랑을 공감으로 한 조력자로 나타났다. 단동치기십계훈의 유아교육적 의미는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세계관을 추구하는 유치원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가치론적 관점과 기틀을 제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의 보편적 양육방식으로 현존하는 단동치기십계훈의 교육관 분석과 유아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한국 고유의 정체성 있는 교육관을 정립하는 기초자료로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erspective of DanDongChiGi SibGyeHoon and to interpret its educational meaning, therefore this helps building a thesis of the traditional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Korea. DanDongChiGiSibGyeHoon views children as godly, universal beings who possess inner power to achieve growth independently. Ideally, child development is the natural realization of a child’s strengths issuing from the child's instincts.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is enable people to follow God’s good will, In other words, to enable a full union with Go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DanDongChiGiSibGyeHoon consists of ways to pursue self-understanding, an ethical life, living in harmony with others. These ways or educational methods are focused on physical activities and attachment activities suitable for the infant's development and symbolizing the meaning and expressions of instruction through playing. In DanDongChiGiSibGyeHoon, the role of the nurturer is that of a helper in building attachment and love. Thus to grasp the meaning of DanDongChiGiSibGyeHoon’s teaching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o seek and implement Korean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values and frameworks which can enable children to respect and love people and nature. The educational understanding presented in this study, reveals DanDongChiGiSibGyeHoon to be the Korean people's traditional, honored way of nurture and, therefore, most viable as foundational material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at uniquely Korean conceptualization of nurture in Korea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