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아동이 문식성, 수학 능력 및 인지 언어적 기술의 발달에서 차이가 나는지 또한 어떤 인지 언어적 기술이 문식성과 수학 능력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도시에 사는 4-5세 아동 98명과 농촌에 거주하는 4-5세 아동 95명을 여러 과제로 검사하였다. 또한 부모 질문지를 통해 가정소득과 가정에서 읽기, 쓰기를 지도한 기간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 4세의 경우 도시 아동의 가정 소득은 농촌 아동보다 더 높았고, 5세의 경우 도시 아동의 아버지 교육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읽기, 쓰기를 지도한 기간에서는 두 집단 간에 다르지 않았다. 4세의 경우 도시 아동은 농촌 아동보다 단어읽기, 글자읽기, 받아쓰기, 음절탈락, 종성탈락, 명명속도, 시공간 과제에서의 수행이 더 높았고, 5세의 경우 도시 아동은 단어읽기, 종성탈락, 명명속도, 시각 변별 과제에서의 수행이 더 높았다. 흥미롭게도 4세의 경우 농촌 아동이 도시 아동보다 어휘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거주지역은 단어읽기와 글자읽기를 예측할 수 있었지만, 받아쓰기와 수학능력은 예측할 수 없었다. 숫자명명속도와 음운인식은 문식성과 수학능력에 영향을 주었고, 시각변별은 단어읽기를, 시공간력은 수학능력을 잘 설명하였다. 그러나 형태소인식은 문식성과 수학능력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This study tested 98 and 95 kindergartners living i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respectively, with the tasks of literacy, mathematics, and cognitive-linguistic skills to compare performances in the two groups. This study also examined which cognitive-linguistic skills explain unique variance of literacy and math skills. Parents filled out questionnaires about parent'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and the du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raining at home. Results showed that family income and father's education level of children of age 4 and 5 in urban community were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in rural area. However, mother's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communities. Four-year old children living in urban community performed better in many tasks such as word reading, Gulja reading, spelling, syllable deletion, coda deletion, number naming speed, and visual relationships than those living in rural community. However, 5-year old children in urban community outperformed in the four tasks of word reading, coda deletion, number naming speed, and visual discrimination. Mathematics skill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community groups. Interestingly, vocabulary ability of children of age 4 was higher in rural community than those in urban area. Two types of communities showed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reading of words and Gulja, but not spelling and mathematics. Number naming speed and phonological awareness were revealed as unique variances of literacy measures and mathematics, whereas visual discrimination and visual spatial relationships explained variance of Hangul word reading and mathematics, respectively. However, morphological awareness did not predict literacy and mathematics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