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아또래관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 26개 학급의 유아들에게 좋아하는 유아와 싫어하는 유아 각 3명을 선정하게 하였다. 사회연결망분석의 통계치 가운데 3개의 중앙성 지표(연결정도중앙성, 인접중앙성, 사이중앙성)와 각 중앙성의 중심화 지표를 토대로 또래집단의 유형을 구분해보았다. 연구결과 각 중앙성의 평균이 높은 학급과 낮은 학급의 또래관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연결정도중앙성 평균이 높은 학급에서는 한 명 또는 소수의 유아가 또래관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평균이 낮은 학급일 경우 또래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아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앙성 평균이 비슷한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중심화의 정도가 높은 학급은 낮은 학급에 비해 중앙 집중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us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discover peer relationship patterns. Young children in 36 classes were asked to nominate three "like the most" and three "like the least" children in their respective classes. Using NetMiner 4.0 and R program, the number and kinds of ties of connection each member of a class was ascertained. These ties, called centrality, are a measurement indicating how well connected each student is to the social network of the class. Once the many complex sub-measurements of centrality are completed, patterns begin to emerge. For example, one or a small number of children were centers of the social networks in a class with a high degree centrality whereas many children took central roles in a class with low degree centrality. The study offers a full description of the SNA process used and defines the measurements and their roles in constructing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childhood peer relationship patterns through SNA are many and all are based on the insightful knowledge that SNA provides in linking children’s development to the interactive, relational influences in their social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