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Lacan의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유아그림책 ‘구름빵’ 에 나타난 주인공의 욕망형성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욕망이론의 주요개념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세가지 측면에서 주체의 분열과정을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상상계에서 아이들은 구름을 손에 넣는 순간 상징계에 있는 엄마와 아빠를 상상계에 편입시켜 자신들의 생각에 동조하게 만든다. 상징계에서 엄마가 아빠를 걱정하는 모습은 아이들에게 아빠를 돕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키고 이 욕망은 상상계에서 만든 구름 빵을 통해 충족된다. 실재계에서 아이들은 구름 빵을 또 먹음으로써 상징계로의 복귀를 회피하며 계속 상상계에 머문다. 왜냐하면 아빠를 돕고자 하는 주체의 욕망 충족은 상징계가 아닌 상상계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다시 상징계로 돌아 왔을 때 주체는 충족되지 못한 결핍이 생기기 때문이다. 결국 상상계와 상징계의 통로 역할을 해주었던 구름 빵은 아이들에게 욕망의 충족과 결핍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고 또 다른 욕망을 갈망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urse of the main character’s desire formation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 Cloud Bread from the perspective of Lacan’s desire theor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course of the subject’s division on the sides of the three main concepts in the desire theory, the imaginary, the symbolic order and the real ord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out that children made their mother and father who initially exist in the symbolic order enter the imaginary to agree with them when they lay hold of clouds in the imaginary. Mother’s concern about father in the symbolic order provokes children’s desire to help him, and this desire is met by the cloud bread created in the imaginary. Children continue to stay in the imaginary abiding their return to the symbolic order by eating the cloud bread again in the real order. This is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desire is fulfilled in the imaginary rather than in the symbolic order, and when returning to the symbolic order, the subject suffers deficiency and dissatisfaction. After all, the cloud bread, which plays the floe of a channel between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order, make children feel satisfied and deficient at the same time, and serves as a motivation for yearning another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