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의 상호작용 영역이 교실에서의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전북, 경남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3개원의 만 3, 4세 100개 교실과 100명의 교사, 각 반에 재원 중인 유아 400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상호작용 영역과 유아의 자기조절력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교수상호작용 영역 중 교사의 교실구조화 영역에서의 상호자용이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은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관련 변인으로 교사의 상호작용을 영역별로 관찰하여, 교사의 의도적인 교수상호작용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과의 관련성을 밝힌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 발달을 위한 교사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고무를 위한 이론적인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preschool’s classroom quality, teachers’ efficacy and the domain of teachers’ inter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in the classroom. Research subjects are three- and four-year-olds 100 classrooms, 100 teachers in 33 pre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Gyeonggi-do, Chungchungnam- do, Jeollabuk-do and Gyeongsangnam-do, and 400 children in each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s of the classroom quality, teachers’ efficacy and the domain of their teaching intera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it turned out that, of the domain of teachers’ interaction, the factor of their classroom organiz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fficac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lso classroom quality did appear to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self-regulation.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observed and measured the domains of teachers’ interaction as a variable related to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revealed the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intentional teaching intera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ment. This study can serve as a theoretical base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nd the qualitative promotion of preschoo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