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구성주의 교실의 비눗방울 놀이과정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과학적 사고를 구성해나가는지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 유아는 경기도에 소재한 Y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1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비눗방울 놀이과정에 참여하여 보이스레코더로 유아들의 대화를 녹음하고 놀이의 중요한 순간은 사진 촬영을 통해 기록하였으며, 참여관찰자는 비눗방울 놀이의 전 과정을 녹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개방 코딩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자, 담임교사, 참여관찰자가 함께 의견을 제시하면서 합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은 자신의 행위와 비눗방울의 변화 사이의 관계를 짓는 과학적 사고과정을 나타냈으며, 둘째, 유아들은 비눗방울 불기 과정에서 바람을 세게 불어야 큰 비눗방울이 나올 것이라는 과잉 일반화된 가설을 가지고 있었으며, 셋째, 유아들은 모양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지각적 속성에 집중한 오개념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들은 끊임없는 반복 실험을 통해 비눗방울의 속성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였으며, 다섯째, 비눗방울 놀이가 심화되어가면서 유아들은 비눗방울의 속성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토대로 비눗방울이 잘 나올 수 있는 조건을 찾아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보는 과학적 사고과정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as it is revealed through the cases of bubbles play based on constructivism for young children.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ive year old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Y elementary school affiliated kindergarten in Gyeonggi-do. The observations were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ories and structure as presented by the children themsel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cientific thinking was categorized into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tion and changes in the bubbles', 'Over-generalized hypothesis for making large bubbles', 'misconception hypothesis focused on the perceptual properties: It will be able to make a heart-shaped bubbles', 'the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concept according to repetitive experiences', 'To consider situational context for making bub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