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장애가 불러일으키는 낯섦에 주목해서 어떤 사람을 낯설게 느끼는 원인과 낯섦에 따른 불안의 작용을 정신분석적 시각에서 조명하였다. 또한 아동들이 내면의 낯선 것과 외부의 낯선 사람에게 공감적으로 다가가도록 하기 위해서 교육현장의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은 이것을 느끼는 자신의 내면세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내면의 낯선 것, 즉 혐오스러운 것이나 부정적인 것을 수용할 수 없으면, 그것은 억압되거나 낯선 사람에게 투사되어서 그가 혐오의 대상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낯선 사람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내면에 대한 이해가 풍부해야 한다. 따라서 아동들이 자신의 내면세계와 자유롭게 대면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아동들의 감성에 주목하고 그것을 촉진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비로소 장애아동들과 비장애아동들이 서로 간의 감정을 상상하고, 상호 공감에 이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trangeness derived from disabilities and explored the cause of finding somebody strange and the effect of anxiety in a psychoanalytical perspective. This study also discussed what kind of a kindergarten’s effort was needed to support children to get closer with empathy to strangeness inside and strangers outside. The results showed that feeling unstable about a stranger was closely related to his/her own mindset. If somebody could not accept the strangeness inside him/herself, for example, disgusting or negative emotions, they turned into repression or projected to the stranger, making the stranger into the subject of disgust. Therefore, a person should fully understand his/her inner self in order to approach to a stranger. As a conclusion, it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 to shed light on children's emotions and boost them to let the children freely interact with their inner selves. This will enable both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to imagine each other’s emotions and empathize one another’s fee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