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어머니 정서신념과 유아 사회적 유능성관계에서 유아 심리적 건강성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330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어머니의 정서신념,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통계처리 하였는데 모델의적합도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정서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은 어머니의 정서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신념이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s the effect of maternal beliefs and young children’s resilience on their social competenc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330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as used in this study. A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lalyzed using SPSS 18.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was obtained by AMOS 18.0.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at the model of structure and model fitness were excellent. In this analysis, the maternal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le it increase the young children’s resilience. As well, the mediation of the young children’s resilience was fully effective in the process that the maternal belief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maternal beliefs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by way of mediating the young children’s resil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