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입장에서 출발하여 생태유아교육과 레지오 유아교육이라는 독특한 교육철학 및 방식을 경험한 두 유아교사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그들의 경험의 본질 속에 나타난 교육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시행 속에서 교사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어려움을 듣고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통합적 운영의 가능성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므로 내러티브 탐구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먼저, 최교사의 교육실천경험을 볼 때 생태유아교육은 인간중심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생명중심 패러다임에서 교사의 역할을 되돌아보게 하는 자기반성적 시각을 갖게 하였다. 윤교사의 레지오 실천이야기에서 민주적 교사공동체형성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었고 교사의 집요한 관찰과 기록 그리고 교육적 반영이 아이들을 유능한 탐구자로 만들어주고 있었다. 철학이 때로는 강박관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고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상당한 실천적 지식이 필요했다. 누리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생활주제가 발현적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기도 하였으며 일일계획안작성은 교사들에게 윤리적 갈등을 안겨주며 또 하나의 많은 양의 서류업무로 여겨졌다. 본 연구를 통해 철학, 누리과정, 그리고 교사 개인이라는 세 축에서 교사들이 마주하는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볼 수 있었다. 교육과정은 철학의 완벽성이나 방법론의 우수성이 아닌 교사의 실천역량으로 실현된다. 레지오 교육이나 생태유아교육을 연구하고 고민하는 교육자와 교사교육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한 경력있는 교사들이 마주하는 구체적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며 교사교육의 심화과정에 이러한 부분들이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drive to establish comprehensive, viable standar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many teachers struggle to implement an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particular educational philosophies and principles. Reggio Emilia and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present two such endeav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wo teachers as each works with and reflects upon her individual experience with one of the programs under pressure to meet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this study looks at each teacher’s detailed life experiences including practical knowledge in terms of the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for implementing a balanced curriculum. As they reorganized and retold their stories in accordance with Clandinin and Connelly's (2000) three dimensional inquiry space, the two teachers each informed chronological configured and communicable stories. This process revealed 1) the philosophy from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worked as a strong critical and reflective tool for the teacher, 2) On the other hand, the Reggio teacher showed us what the ‘democratic classroom conversation’ is and how ‘emergent curriculum’ can be actualized through observation and subsequent documentation. Perceiving this philosophical contradiction as an ethical conflict, the two teachers expressed confusion about implementing either of them. To relieve such confusion and to help teachers make balanced implementation judgments, programs merging pract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diversities are needed in advanced teacher education courses. Education does not become actualized simply by the perfection of philosophy or pedagogy, actors do the actualizing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researchers need to go into the classroom, meet teachers, listen to them and watch what they do to find out their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through narrative inquiry, action research, and the multiple ethnographical ways of understanding their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