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 결혼 특성과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을 매개로 하여 유아기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전국의 유아 1,754명과 그의 어머니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어머니의 결혼 특성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어머니 양육스타일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은 양육스타일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양육스타일을 매개로 또래 상호작용 발달에 간접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 심리적 특성은 결혼 특성보다 어머니 양육스타일과 또래 상호작용에 더 강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결혼 특성과 심리적 특성이 긍정적일 때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이 좋으며,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발달에도 긍정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ternal marit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style.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754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4th Korean Children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used to identity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Results indicate that mother’s parenting style tot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arital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Furthermore, the mater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d a stronger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an did maternal marriage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imply that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rital characteristics are able to not only support mothers’ parenting style positively but also have a good impact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