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에 근무하는 전임교수들을 대상으로 1년 과정 안에서의 교수경험을 심층적으로 드러내고, 교수경험에 대한 의미를 내러티브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B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에 근무하는 3인의 전임교수들이며, 2013년 2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약 10개월간 심층면담, 참여관찰, 연구 참여자 저널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교육원 교수들은 1년의 과정동안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었다. 마주하기 과정에서 교수들은 만석을 위한 기대와 꿈도 가져보고, 선택의 딜레마에 빠지기도 하면서 학생들을 소중한 인연으로 받아들이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알아가기 과정에서는 입학 후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탐색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교수들은 보육교사교육원 학생들만의 다양한 출발점을 인정하고, 과정의 한계를 인식하며, 긍정적 가치를 발견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동행하기 과정에서 교수들은 그들이 파악한 학생들의 수준에 다가가기를 실천하고 학생들을 새롭게 보면서 끊임없이 응원을 보내며 함께 나아가고 있었다. 헤어지기 과정에서는 1년의 기간이 너무 짧아 성취감보다는 분주한 마음에서부터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걱정과 남겨진 아쉬움의 정서까지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육교사교육원에서 교수경험의 의미는 단거리 경주의 코치로서, 예비교사들의 사표로서, 모성적 삶의 실천가로서 살아가는 것에 두었다.


Though continuing education is provided through regional centers, Korea’s child care teachers do not have as comprehensive an educational background as kindergarten teachers. In its drive to improve Early Childhood Education Care(ECEC), new education methods are constantly being tried and tested. This study reports on one in which three university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ft the university to work full time as mentors an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n education center from February 2013 to November 2013.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meanings and transitions involved in this unprecedented teaching experience, consists of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researcher journal writing throughout the period. Analysis reveals that the professors were constantly learning about the needs and levels of their students and making decisions about what, when and how to teach and this involved an acceptance of students and a willingness to explore the learning process with them individually.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 course, the teachers were nonetheless able to find many positive values and to see each student with fresh eyes. In sum, to their students, the teachers became coaches, guiding stars, mentors and models themselves by engaging in such nurturing roles. However, as the time to separate drew near, the professors felt that 1 year was too short to feel a proper sense of closure or achievement of the course goals. Rather, they experienced an increased busyness and worry about the future of their students. In conclusion, critics have maintained that full-time teacher training on child care center sites hampers the quality of educational growth needed. Despite the transformative understandings both the professors and the teachers gained, the professors in this study would agree though they point to the shortness of time as being the primary, insurmountable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