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Genette(1972/1992)의 서사담론을 참조체계로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시간성이 글과 그림과의 관계 속에서 어떤 장치로 내재되어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그림책 속 시간성이 어떻게 독자들을 놀이로 유도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포스트모던 그림책 9권을 선정한 후 참조체계를 이용하여 각 그림책의 시간성이 놀이를 유도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포스트모던 그림책 속 시간성이 지닌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생산하는 주체의 권위가 사라지는 것은 놀람과 즐거움을 주고, 스토리의 순서가 뒤엉키고 예상이 뒤집히는 관습적인 서사 구조의 파괴는 웃음을 유발시키고 있었다. 또 그림책 자체가 지닌 물질성은 몸을 직접 움직여 텍스트에 연루되는 반응과 함께 과거의 놀이 경험들을 응축시켜 새로운 놀이를 탄생시키며, 관습적인 서사구조의 파괴는 독자 스스로 서술 순서를 구성해보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었다. 끝으로 과거와 현재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텍스트 간의 연결성은 상호텍스트적 참조물을 찾는 놀이를 촉발시키고 있었다. 결국, 포스트모던 그림책 속 시간은 독자들이 제 2의 독자로써 텍스트에 연루되도록 만드는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ostmodern picture books are a specific genre of picturebook in that they depart from the traditional linear-narrative format. This is especially so in the matter of time for postmodern picturebooks often depict the narrative in a mult-idimentional, non-chronological order, interspersing objective “real” time with subjective time and the like. Referencing Gerard Genette’s temporal analyses of narrative, this study explores the features of time as an inducer to play. When time is depicted in many dimensions without overt notice to the reader, it becomes a devise exposing hidden meaning and enticing readers into cognitive, interactive play though which they construct meaning. The young reader’s creative involvement may arouse laughter and pleasure through subversion, satisfaction or rhythm as the child becomes immersed in creating and solving puzzles and riddles. Ultimately and delightfully, for young readers, the plurality of multi-dimensional time in postmodern picturebooks allows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with the text so deeply that they soar to the status of second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