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기질(사회성), 가정환경,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49∼55개월 유아 1,703명과 그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사회성의 기질, 가정환경,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각각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기질(사회성)과 환경적 다양성과 자극 정도를 알 수 있는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창의성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children’s temperament(sociality),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peer interactions on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703 children, and from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5st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12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very goo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emperament(sociality) affected on children’s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affected on the children’s creativity. Also, peer interactions variables affected on the children’s creativity. The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ren’s creativity. But, the play inter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n’s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