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 적 : CD4+ T 세포의 활성화와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천식의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T helper 2(Th2) 세포는 IgE 생산을 자극하는 interleukin-4(IL-4)와 호산구의 증식 및 활성화에 관련하는 interleukin-5(IL-5)를 분비한다. 그리고 T helper 1(Th1) 세포에서 만들어진 interferon-γ(IFN-γ)와 항원표식세포에서 생산된 interleukin-12(IL-12)는 IgE 생성에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저자들은 비교적 안정된 중등도 천식 환아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배양한 후 상층액 내의 사이토카인의 분비양상과 임상소견과의 관계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방 법 : 비교적 안정된 중등도 아토피성 기관지천식 환자 32명과 정상아 16명을 대상으로 혈청 및 말초혈액내 단핵구를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10 ng/mL)로 자극 후 48시간 동안 배양한 상층액을 각각 -20℃에 보관 후 IL-4, IFN-γ, IL-5, IL-12를 Endogen사의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치와 아토피 인자, 최대호기속도(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메타콜린(methacholine; Mch) 흡입유발검사, 유도객담검사 결과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결 과 : 천식 환아의 호산구수와 혈청 총 IgE치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배양 전 혈청 사이토카인은 IL-5만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단핵구 자극 후 배양 상층액의 IL-4, IL-5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IFN-γ, IL-12는 대조군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상층액의 IL-4와 피부반응 양성 항원수 및 혈청 총 IgE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상층액의 IL-5와 메타콜린 PD20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유도객담 호산구수 및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층액의 IFN-γ와 PEFR과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혈청 총 IgE와는 역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상층액의 IL-12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L-4, IFN-γ, IL-5, IL-12 Production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Moderate Atopic Asthma andIts 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Hae Sook Kim, M.D., Eun Mi Jung, M.D., Moon Sun Shin*, Do Young Song, M.D.* and Im Ju Kang,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