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 적 : 세계적으로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 또한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천식과 비만 사이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들이 있지만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이 소아에서 아토피와 기관지과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 6세에서 15 세 사이의 4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남아는 283명, 여아는 160명 이었다. 대상 환아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유발시험을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 수, 혈청 총 IgE 농도, 혈청 ECP 농도 및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body mass index(BMI)를 구하여 각 성별, 연령에 따른 BMI 백분위수 곡선을 이용하여 BMI 백분위수를 구하였다. BMI 백분위수 85, 90, 95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전체 대상 환아 및 남아, 여아 각각에서 아토피의 빈도, 혈청 총 IgE, 혈액 내 호산구 수, 혈청 ECP를 비교하였으며 기관지과민성 유무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BMI 백분위수로 분류한 군 사이에서 아토피의 변수인 혈청 총 IgE, 혈액 내 호산구 수, 혈청 ECP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BMI 백분위수에 따른 군 사이에서 기관지과민성 및 폐기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 환아를 남아와 여아로 재 분류하여 비교하였을 때에도 각 변수들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대상환아, 남아, 여아로 분류하여 아토피 및 폐기능 검사변수가 BMI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ffect of Obesity on Atopy and Purpose : The prevalence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s on the increase and that of obesity is on the continuous increase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recent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sthma and obesity, which are still controversial.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obesity on atop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43 subjects ranging from six to 15 years of age, and consisted of 283 boys and 160 girls. They went through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methacholine challenge tests with their eosinophil counts within blood, total serum IgE levels,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levels, heights, and weights measured. After determining body mass index(BMI), BMI percentiles were determined by using a BMI percentile curve based on gender and age. After th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85th, 90th, and 95th BMI percentiles, a comparison was made in frequencies of atopy, total serum IgE, eosiniphil counts within blood, and serum ECPs as well as in frequencies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for the total group, the boys, and the girls, respectively. Results :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BMI percenti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erum IgE, eosinophil counts within blood, and serum ECPs. There als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or pulmonary functions among them. Effect of atopy and pulmonary function test variables on BMI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ys, girls or the total group. Conclusion : There was domestically no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atop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mong childre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Asthma, Obesity, Pulmonary function test, Body mass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