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 적 : CXCL13은 B 세포의 귀소 반응에 관여하는 케모카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T 세포 관련 염증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고, Th17 세포에서 주로 분비된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에서 CXCL13의 임상적인 의의와 기관지과민성, 폐기능과 기도 내 호산구성 염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에 내원한 만 6세에서 15세 이하의 소아 16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천식 환아는 80명, 대조군은 80명이었다. 전체 대상아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검사를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 수, 혈청 총 IgE, ECP 및 유도객담 내 호산구 수, ECP 및 CXCL13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유도 객담 내 CXCL13은 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3), 객담 내 호산구 수(r=0.190, P=0.017) 및 ECP (r=0.285, P=0.002)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액 내 호산구 수 및 ECP, 총 IgE와는 통계적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고, 폐기능 및 메타콜린 기관지과민성과도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CXCL13은 소아 천식에서 호산구성 염증과 관련하여 기도 내 만성 염증에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도 객담 CXCL13은 향후 케모카인과 천식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CXCL13 is known to be a chemokine delivering B cell to the secondary lymphatic follicles, such as spleen, lymph nodes, and Peyer's patches.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that CXCL13 is important for T cell inflammation and expressed by Th17 cell which produces IL-17.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linical implication of CXCL13 in children with asthma.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60 children aged 6 to 15 years who visited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There were 80 children with asthma and 80 children without. The pulmonary function test and th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were performed. Total eosinophil count,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and total IgE in serum and eosinophils, ECP and CXCL13 in sputum were measured.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8.3±2.3 years for the asthma group and 9.3±2.5 years for the control group.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67.5% and 55.0% respectively. The sputum CXCL13 level for the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level for the control group (P=0.003). This significance persisted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ex (P= 0.010). The sputum CXCL13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sputum eosinophils (r=0.190, P=0.017) and ECP (r=0.285, P=0.002).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CXCL13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asthma related to eosinophilic inflammation. Further studies on sputum CXCL13 could help to reveal the role of chemokines in asth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