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 적:호기산화질소 농도의 측정은 천식 환자에서 시행이 간편하며, 빠르고 비침습적인 하기도 염증의 임상적 지표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천식 소아에서 폐 기능, 메타콜린 기도 과민성, 혈액 호산구 염증지표와 메타콜린 유발시험 전, 후에 측정한 호기산화질소 농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기침, 천명, 호흡 곤란 등 천식 증상으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알레르기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한 환아 55명에서 폐 기능 검사, 메타콜린 유발 검사, 혈액 호산구 수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 농도를 측정하고, 메타콜린 유발 검사 전 기저 폐 기능 상태와 유발 시험 후 기도 수축 상태에서 호기산화질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메타콜린 유발시험 후 호기산화질소 농도는 평균 25.7 ppb (13.8–47.9)으로 유발시험 전 36.3 ppb (20.9–63.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기저 폐 기능과 호기산화질소 농도는 유발시험 전(R2=0.07, P=0.029)과 후(R2=0.059, P=0.01) 모두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기산화질소 농도와 메타콜린 PC20의 상관관계는 유발 시험 전(R2=0.086, P=0.001)과 후(R2=0.141, P=0.001) 모두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기산화질소 농도와 혈액 호산구 수는 유발시험 전 R2= 0.082, P=0.211 이었으나 후에는 R2=0.112, P=0.028로 기도 수축 상태에서만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기산화질소 농도는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 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호기산화질소 농도와 기저 폐 기능, 메타콜린 PC20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기도 수축 상태에서 측정한 호기산화질소 농도와 혈액 호산구 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도 염증의 간접 지표의 하나인 호기산화질소 농도는 반복적인 폐 기능 검사 자체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Purpose:The measurement of fraction of nitric oxide (FeNO) is a noticeable tool that reflects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tic patients. We wan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HR), blood eosinophilic inflammatory markers and FeNO level before and after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 in asthmatic patients. Methods:Fifty-five children, who visited the Allergy Clinic of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from March 2011 to February 2012, due to asthmatic symptoms, such as history of episodic wheezing or dyspnea during the previous year and resolved after using bronchodilators, were enrolled. We performed the baseline pulmonary function and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 in the enrolled patients. Blood eosinophil counts and bloo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were measured. FeNO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 Results:The mean FeNO levels (36.3 ppb) fell after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 (25.7 ppb).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pred inversely correlated both with FeNO level before (R2=0.07, P=0.029) and after (R2=0.059, P=0.01) methacholine bronchoprovocation test. The provocative concentration, causing a 20% decrease in FEV1 to methacholine (methacholine PC20) inversely correlated both with FeNO levels before (R2=0.086, P=0.001) and after (R2=0.141, P=0.001) the challenge. FeNO level measured at bronchoconstriction stat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lood eosinophil counts (R2=0.112, P=0.028). Serum ECP levels correlated FeNO level, neither before nor after bronchoprovocation. Conclusion:The baseline FeNO levels were higher in asthmatic children. However, FeNO levels rather decreased after methacholine induced bronchoconstriction. Repeated spirometry maneuver was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reducing FeNO levels. FeNO correlated with pulmonary function, airway AHR and blood eosinophil c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