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지하듯이 심신관계의 문제는 ‘세계의 매듭’이라고 칭해질 정도로 철학적인 문제가 집약되어 있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들의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제는 마음과 물질의 관계에 관한 여러 가지 얽혀져 있는 문제들(존재론)의 핵심이자, 그 귀결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서양 철학사에서 나타났던 전형적인 심신관계론, 즉 ‘실체 이원론’과 ‘과학주의 물리일원론’의 원리와 난점을 살펴보고, 이 결과를 한국철학사 연구에 어떻게 원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변화로부터의 논증’에서 나온 플라톤-데카르트적인 실체이원론은 다양한 종교적 인간관과 함께 인류 역사를 통해 지배적인 위치를 점해왔다. 그러나 마음과 분리된 신체는 시체일 것이며, 신체와 분리된 심령은 ‘귀신’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인간의 몸과 마음이 불가분 연계되었을 때 전일적인 인간이 된다는 현실을 주목했다. 나아가 우리는 ‘과학주의적 물리일원론’ 또한 “실증적-대상적-제3자적인 관점에서 형상을 지니면서 인과적인 역할을 하는 것만을 실재로 인정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인간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우리는 실체론의 ‘형이상학적 전제’나 혹은 과학주의자들이 파악하고자 하는 ‘과학적 이론의 세계’ 이전에 우리가 마음을 쓰고 생활하는 인간의 직접 체험의 실존의 장이 인간의 현실을 온전히 드러내고 있으며, 나아가 이론적 도식에 의해 마음과 신체를 나누기 이전의 본래의 근원적-통일적 인간이 ‘실체적 정신’이나 ‘물리적으로 환원되는 정신’ 이전의 온전한 인간 존재라고 판단한다. 존재론적 토대이념으로서 물리주의가 추상적인 학문이념일 뿐이며, 마음의 본체를 제시하여 그것은 물리적인 것으로 환원되거나 해소될 수 없다는 것이 한국 철학에서 심성론 연구의 과제라고 주장하며, 한국철학사 특히 이기론 등은 바로 이러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해 줄 풍부한 소재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This article's aim is to reconsider wester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and to contrast korean philosophy of human mind-nature as LI-KI in relation with modern philosophy of mind as physicalism. Two sustance theory of Mind-Body relation was come from argument from changes. In Contemporary theory of Mind-Body relation, Two sustance theory has been abandoned for various reasons. Ontological physicalism has been dominant position on theory of Mind-Body relation. Ontological physicalism is represented by behaviorism and psycho-physical type identity theory. The reductive physicalism reduce mind to physical body. Korean philosophy of Human mind-nature regarded Mind-Body Relation as theory cosmological LI-KI'. Korean philosophy of LI-KI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theory of the substance, aristotelian form-matter theory of Mind-Body relation. Korean philosophy of human mind-nature as LI-KI is distinguished from modern scientism. Because the scientism only speaks of the changeable aspect of the mind and the function, but not the unchangeable aspect, the sub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