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愚潭先生于理学, 以≪四七辨证≫贡献最大, 由此知名。 其诗咏作品, 传世甚少。 学者迄今鲜有论述。 那么愚潭之于诗学, 其才情如何, 即成疑问。 自宋周濂溪至朱晦庵以来, 理学诸儒多能吟咏, 故有“濂洛风雅”一派。 愚潭之诗與其理学著作, 究竟具有何种关联, 亦成疑问。 愚潭终身不仕, 儒书之外, 又谙熟佛典與仙道, 又性好游观, 凡此种种, 就外表而言, 则似介于儒学與佛、道之间, 那么愚潭先生之立身, 究竟为儒家, 为佛道, 亦颇有探讨价值。 其一生学养所归, 是否醇儒, 仍须辨明。


Ding Shihan(styled Yutan; 丁時翰, 愚潭) was famous for his four-seven differentiation(四七辨證) on the area of neo-Confucianism. Yet few comments and criticism were made on his poetry, for rarely of which was handed down from generations. Hence there is a mystry on his talent in terms of poetics. Noted by Zhou Dunyi(styled Lianxi; 周敦頤, 濂溪) and Zhuxi(styled Hui’an; 朱熹, 晦庵) in Song Dynasty, most of neo-Confucianism scholars after them were expert at intoning and thus formed the poetic school of “Elegance of Lian‐Luo”(濂洛風雅). Therefore, there is also a mystry on how his poetry related to his works of neo-Cunfucianism. During his whole life, Ding never involved himself in politics as an official. He read Confucian classics a lot, and was also proficient in classics of Buddhism and Taoism. In addition, he was fond of travelling in nature. A superfical conclustion is made based on these situation that his thoughts was closely linked with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Therefore, it is worth elaborating whether his thoughts belonged to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and whether he was a pure Confucian(醇儒) through his whole life. 愚潭선생은 「四七辨证」을 통하여 理学에 공헌한 바가 매우 크다. 그러나 그가 지은 诗는 극히 일부가 세상에 전해졌으며, 이로 인해 이에 관한 학자들의 논의 역시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诗에 관한 그의 조예가 어느 정도인지는 의문이 든다. 宋의 周濂溪로부터 朱晦庵에 이르기까지 理学의 诸儒들은 吟咏에 모두 능통하였으며, 이 때문에 “濂洛风雅”라는 일파가 형성되었다. 愚潭의 诗와 理学에 관한 그의 저작은 궁극적으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우담은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았으며, 유학에 관한 서적 이외에도 佛典과 仙道에 관한 서적을 읽었고 또한 유람을 즐겼다. 이러한 종종의 상황을 종합하여 표면적으로 말하자면, 유학과 불교 및 도교 사이를 넘나들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담선생의 입장은 결국 儒家적인가 아니면 불교나 도가적인가?에 관한 탐구 역시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우담의 일생은 학문의 배양으로 귀결되므로, 그가 醇儒인지 아닌지는 이를 통하여 판명될 것이다.


Ding Shihan(styled Yutan; 丁時翰, 愚潭) was famous for his four-seven differentiation(四七辨證) on the area of neo-Confucianism. Yet few comments and criticism were made on his poetry, for rarely of which was handed down from generations. Hence there is a mystry on his talent in terms of poetics. Noted by Zhou Dunyi(styled Lianxi; 周敦頤, 濂溪) and Zhuxi(styled Hui’an; 朱熹, 晦庵) in Song Dynasty, most of neo-Confucianism scholars after them were expert at intoning and thus formed the poetic school of “Elegance of Lian‐Luo”(濂洛風雅). Therefore, there is also a mystry on how his poetry related to his works of neo-Cunfucianism. During his whole life, Ding never involved himself in politics as an official. He read Confucian classics a lot, and was also proficient in classics of Buddhism and Taoism. In addition, he was fond of travelling in nature. A superfical conclustion is made based on these situation that his thoughts was closely linked with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Therefore, it is worth elaborating whether his thoughts belonged to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and whether he was a pure Confucian(醇儒) through his whole life. 愚潭선생은 「四七辨证」을 통하여 理学에 공헌한 바가 매우 크다. 그러나 그가 지은 诗는 극히 일부가 세상에 전해졌으며, 이로 인해 이에 관한 학자들의 논의 역시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诗에 관한 그의 조예가 어느 정도인지는 의문이 든다. 宋의 周濂溪로부터 朱晦庵에 이르기까지 理学의 诸儒들은 吟咏에 모두 능통하였으며, 이 때문에 “濂洛风雅”라는 일파가 형성되었다. 愚潭의 诗와 理学에 관한 그의 저작은 궁극적으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우담은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았으며, 유학에 관한 서적 이외에도 佛典과 仙道에 관한 서적을 읽었고 또한 유람을 즐겼다. 이러한 종종의 상황을 종합하여 표면적으로 말하자면, 유학과 불교 및 도교 사이를 넘나들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담선생의 입장은 결국 儒家적인가 아니면 불교나 도가적인가?에 관한 탐구 역시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우담의 일생은 학문의 배양으로 귀결되므로, 그가 醇儒인지 아닌지는 이를 통하여 판명될 것이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Ding Shihan(styled Yutan; 丁時翰, 愚潭), Elegance of Lian‐Luo”(濂洛風雅), pure Confucian(醇儒), Confucian connotation 정시한(丁時翰), 우담(愚潭), 염락풍아(濂洛风雅), 순유(醇儒), 유현의온(儒賢意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