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 지구환경 문제는 정치⋅경제⋅사회적 事案만이 아니라 세계관과 윤리관, 가치관 등 인간에 관한 종합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현대 환경문제를 온전히 다루기 위해서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이해’, ‘과학의 진보⋅발전의 신화에 대한 비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 두 가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새로운 우주론(a new cosmology)에 근거한 이론체계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동양의 氣哲學에서 제시하는 ‘운행’과 ‘창조’ 개념을 중심으로 새로운 우주론과 가치관, 윤리관 정립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구 근대적 환경담론의 한 축으로서 ‘인간중심주의’를 살펴보고, 동양철학에서의 운행과 창조 개념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또한 자연의 운행원리를 거스르지 않고 ‘건전하고 건강한(sound and well)’ 인류발전을 고민하고 모색해야 할 현대 지식인으로서 철학연구자들이 현대 환경문제에 대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 지에 관해 생각해 보았다.


Modern environmental issues are not just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but also include our views on the world, ethics, and values. Therefore, in order to fundamentally address modern environment issues, 'new understanding about human and nature' and 'criticism on myth about progress an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have to be considered. To address these issues, a new academic theory based on new cosmology needs to be established.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new cosmology, value, and ethics based on concepts of 'movement' and 'creation' presented in 'qi philosophy(氣哲學)' of the East. The paper first examines 'humanism' as the pillar of environmental discourse, then explores the meaning of movement and creation in Eastern Philosophy. The paper also examines the roles philosophers have to play in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as modern intellectuals who need to drive sound and well development of humanity without going against nature's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