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덕육(德育)을 기초로 하는 공자의 도덕교육 사상은 인간다움이라는 보편적인 실천 원리인 ‘인(仁)’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도덕 주체가 당면한 현실에서 구현되는 도덕적 행위규범인 ‘예(禮)’를 외형적 요소로 하고 있다. 또한 교육방법론의 측면에서는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이라는 내재적 수양방법과 도덕 교화방법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공자(孔子)의 도덕교육 사상을 인격과 정치의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도덕적 가치의 혼란과 인간 소외 현상으로 대변되는 현재의 교육적 실효성에 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를 통하여 반성적인 차원에서 도덕교육이나 인성교육의 의미를 진단해보고, 아울러 공자의 도덕교육론이 갖는 개인윤리적 의미와 사회윤리적 의미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공자를 대표로 하는 유학의 학문적 전통은 덕목을 통한 덕성(德性)의 함양과 실천적인 덕행(德行) 교육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현재까지도 직접적으로 우리의 학문과 교육 및 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공자의 도덕교육론은 현 시대의 도덕교육의 내용을 풍부히 하고, 시대의 변화와 발전에 따른 미래 지향적 도덕과 교육과정 구성 및 교재 개발에 있어서 일조할 것이다.


Kongzi’s moral education is based on cultivating moral virtues and emphasize the concept of humaneness (ren 仁) as a practical moral principle. His teaching takes ritual propriety (li 禮) as its outer element which moral person should follow in social relations.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ology, his teaching can be categorized into two parts: personal cultivation (xiuji 修己) as an inner cultivation method, and regulating others (zhiren 治人) as an moral transformation method of others. This study explores Kongzi’s moral education, focusing on his teachings as to personality and politics. To this aim, this study ques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hich seems to be responsible for the distortion of moral values and human alienation.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analyzes the implication of Kongzi’s moral education on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Confucian tradition is focused on cultivating moral virtues and educating moral actions, and is still very influential on our study, education, and culture. Kongzi’s moral teaching will richen the contents of our current moral education and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new curriculums and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aimed at promoting future-orien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