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inquiry proposes South Korea’s policy alternatives for the “soft-landing” of Nor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its military-first policy and the ROK-US security alliance format. The alternatives must be effective altering the North’s behaviors, since it follows the procedures that India, Pakistan and Israel have traced for the nuclear possession. It is absolute that North Korea should be clear on the Choenan/Yeonpyeong incidents and its nuclear ambition, no matter how it goes in the succession process. Critics have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as the inducement of the North’s policy change; i.e., systemic reform and democratization, intensification of economic dependence, and regime change. Economic absorption, indirectly or openly, has been discussed as a way of unifying the two Koreas, but a mor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means of reaching a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significant barriers to peace and prosperity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clude North Korea’s juche ideology of self-reliance, autarkic economic mismanagement, and ever-lasting security/insecurity dilemma. The best-case scenario is to support North Korea’s reform through economic and diplomatic channels rather than to perpetuate the continuation of military confrontation, which forces North Korea to view South Korea as a mortal enemy instead of a source for the Pyongyang’s survival and recovery.


본 연구는 북한의 선군정치를 분석하고 한미동맹의 기본 틀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은 북한이 핵 보유국 지위를 획득하려는 의도가 있는 관계로 북한의 행태를 변화시키는 정책대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북한이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포격사건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와 핵무기 폐기에 대한 확실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북한에 대한 정책대안으로 체제개혁 및 민주화, 경제적 협력관계 심화, 체제변화 등이 제시된 바가 있지만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경제적 흡수통일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고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방법론적 틀을 마련하는데 많은 관심을 두어 왔다. 사실상 가장 심각하게 문제가 되는 부분은 북한의 주체이념과 자급자족의 경제체제 그리고 안보/비안보 딜레마에 있다. 가장 최상의 시나리오는 적대적 관계의 지속이라는 군사적 대립보다는 경제와 외교채널을 통한 북한의 체제적 개혁을 지원하고 그 실행방안을 찾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