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의 소수민족 지역 중 토착민족인 위구르족의 언어, 문화적 정체성이 강한 곳이다. 중국이 1949년 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 위구르족에 대한 언어정책은 지역 안정과 소수민족정책의 성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개혁개방 전까지‘한어 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소수민족에 대해 비교적 평등한 언어정책을 실시하던 중국은, 1992년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공식적으로 실시한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중언어 실험반을 위시한 여러 형태로 자치구에서 이루어진 이중언어 교육은 사실상 한어몰입 교육이었다. 한어는 하나의 과목이 아니라 수업의 주된 언어로 사용되고, 위구르어는 공식 교육에서 제한적인 매개 역할만 하게 되었다. 급진적으로 추진된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양적으로 실험반 수가 현저하게 늘어나고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적 우수하다는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친 몰입교육으로 여러 교육적 폐단을 불러왔다. 한어의 역사와 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부족, 시험과 성적향상만을 위한 한어교육, 영어교육의 취약성 등이 위구르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위구르 자치구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위구르족의 언어 정체성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위구르족은 위구르어에 대한 정체성을 공고히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한어를 도구적 언어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반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실시는 위구르 사회에서 계층, 지역, 도농 간 차이를 심화시키고, 심지어 세대 차이마저 표출시키고 있다. 이런 현상은 중국으로의 동화적 측면에서 보면 일견 성공한 듯 보이지만, 소수민족 사회의 불안정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제기하고 있다. 소수민족과 한족이 공존하는 곳에서 이중언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 방향은 소수민족 학생들에게 더 많은 경제적, 사회적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중언어 교육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맞는 수준과 추진 과정을 마련하여 위구르족과 한족이 안정적으로 공존하는 균형적 이중언어 교육정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is a unique minority region in China. Uyghur identity which i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has been very strong, so it is not easy to be incorporated into main Han Chinese culture. Since the annexation of the region into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various measures in language education to the Uyghur minority.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one of them. Although the policy of bilingual education was proclaimed in 1992, real programmes were widely executed in the 21st century after the 'Great West Development Programme.' However, education of Mandarin Chinese language was mainly emphasized in the bilingual programme, whereas the Uyghur language became a minor language even in minority nationality schools(minzu xuexiao). In some schools of city areas of northern part of the Autonomous Region, the policy seems to be partly successful. But the bilingual policy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widening gaps in the Uyghur society among classes, regions, and even generations. The Uyghurs, on the one hand, seem to accept Mandarin Chinese as a practical tool for them to enter Han-Chinese centere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Uyghurs are cautious enough to sustain their culture in preserving their language. Therefore, present drastic measures in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cannot be a good tool for perpetual goal of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would be regional stability and incorporation of the Uyghurs into the Chinese culture. A real measure to accept the Uyghur language in bilingual education policy can make a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Han Chinese and Uygh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