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compares the Crimean Tatars and the Soviet Koreans in terms of the reintegration process into their homeland: repatriation, legal status of diasporas, housing and land issues, and role of motherland in reintegration of diasporas. The result shows that the Crimean Tatars are more typical of the ideal‐type diaspora than the Soviet Koreans, although the two post‐Soviet diasporas share certain criteria of diaspora elaborated by William Safra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xtend the Safran’s original concept of ‘diaspora’ to include the variant form of the Soviet Korean diaspora. In addition, the case of the Crimean Tatars is quite suggestive of various reintegration issues for the Korean returnees in the Russian Far East (RFE). The Turkish government, which serves as a homeland for the Crimean Tatars, is much more actively engaged in various reintegration policies for its compatriots. In this sens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be more assertive in its efforts for reintegration of the returning Soviet Koreans in the RFE.


이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의 크림 따따르인과 구소련 고려인의 모국으로 재통합되는 과정을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귀환과정, 모국에서의 법적지위, 모국에서의 주택과 토지 소유권문제, 그리고 재통합과정에서의 모국의 역할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서 두 민족은 사프란이 제시한 디아스포라의 일부 기준은 공유하고 있으나, 크림 따따르인은 고려인보다 사프란이 제시한 디아스포라의 이념형에 더 근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프란의 디아스포라 이념형은 이념형에서 벗어난 고려인들과 같은 이산민의 변형도 포함할 수 있도록 개념의 확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크림 따따르인의 모국으로의 귀환사례를 통해 과거 고향이었던 러시아 극동으로 귀환하는 고려인들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크림 따따르인의 모국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터키정부가 크림 따따르인들이 모국인 크림반도로 귀환하고 재통합함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점은 고려인의 귀환정책에 대한 소극적인 한국정부의 정책이 좀 더 적극성을 띨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