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 종업원들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생활에서도 자기결정과 자기주장의 욕구가 커지고 있다. 그에 따른 새로운 종업원 관리방식의 요청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등의 행위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 구명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과정에서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도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는 중국 무역회사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하여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임파워링 리더십하에서 종업원들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며 이직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의 종업원들의 긍정적 조직성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행사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중국기업 관리자들의 임파워링 리더십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권한위양을 위한 관리체제의 정비와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impa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outcomes (affective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 Chinese employees. The results shows that; first, empower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rd, as predicted,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OCB, affective commitment and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Fourth,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outcomes. Finally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develop the leadership competencies for Chinese manager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