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재활자기관리 노트를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재활 대상자에게 적용하고 우울, 재활동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대상자는 2012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간 재활병동에서 입원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로 하였다. 대상자는 수는 대조군 27명, 실험군 21명이었고, 탈락자를 제외한 최종 연구 대상자는 대조군 23명, 실험군 17명으로 총 40명이었다. 조사시점은 프로그램 적용 전, 적용 후 5일, 10일에 설문지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재활자기관리 노트를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점수가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에 따른 재활동기 점수의 차이를 보였는데(F=3.90, p=.029), 실험군은 5일후 재활동기가 감소했다가 10일 후 증가했고, 대조군은 5일 후 증가했다가 10일 후 감소했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이 증가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59, p=.559). 결론 : 본 연구에서 시도된 재활자기관리 노트를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재활대상자의 우울을 감소하고 재활동기를 증가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rehabilitation in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depress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rehabilitation inpatients, 27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November, 2012.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three times (pretest, 5 days, 10 days) Final data for 40 patients were analyzed, 23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Motiv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changed significantly (F=3.90, p=.029) and self-efficacy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F=0.59, p=.559)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rehabilitation inpatients could be useful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improve motivation and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