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based on expectation-confirmation theory is currently the dominant referent theore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continued usage of information systems. Along with ECM, "habit" construct meaning automatic behavior tendencies has also recently been incorporated into IS research. This study, based on these concepts, made an attempt to incorporate habit into ECM in the continued mobile internet services usage context. For this purpose, we have developed and empirically validated a research model comprising continuance intention, satisfaction, and such post-adoption beliefs as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of-use, and habit. We performed a survey for 250 university students who resides in J. province. Our findings support the argument that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users' satisfaction with using mobile internet services. It also support that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habit are crucial determinants of users' intention to continually using mobile internet services. But perceived ease-of-use was found to have no relationships with both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기대일치이론에 기초한 기대일치모형은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 혹은 사용의도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언급되어 왔다. 이러한 기대일치모형과 더불어 최근에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또 다른 개념은 자동화된 행동 경향을 의미하는 ‘습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개념들을 기초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이용 상황에서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에 일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습관 등의 수용후 신념, 이용자 만족, 지속적 이용의도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J도내 25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기대일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이용자 만족, 습관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이용 용이성은 이용자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 모두에 대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