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MF 외환위기 이후,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은 팀제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팀제 조직의 도입으로 인해 나타난 조직내 팀 간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갈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제 조직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인 팀제 조직 내 팀 간 갈등에 대한 선행변수와 갈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변수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갈등의 효과적 관리에 대한 실무적․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92개 기업 334개 팀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팀 간 특성변수 중 의사소통장애와 목표의 차이, 그리고 불공정성 만이 팀 간 갈등과 팀 간 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직이 의사소통의 채널을 넓히고 보다 공정한 대우를 할 경우, 팀 간 갈등의 수준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팀 간 갈등의 선행변수와 팀 간 갈등 및 팀 간 협력 간의 관계에 있어 팀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팀 간 갈등의 경우, 과업의 상호의존성을 제외한 모든 팀 간 특성 변수, 즉 의사소통장애, 희소자원경쟁, 목표의 차이, 불공정성과 팀 효능감 간의 상호작용항이 팀 간 갈등을 조절해 주었으며, 팀 간 협력의 경우에는 과업의 상호의존성, 목표의 차이, 불공정서와 팀 효능감 간의 상호작용항만이 팀 간 협력을 조절해주었다. 이처럼, 팀 효능감은 다양한 팀 간 갈등과 팀 간 갈등과 팀 간 협력을 조절해 줄 수 있으므로 팀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조직관리적인 측면에서 보다 나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이론적․관리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Since IMF crisis, a large number of firms in Korea have adopted team-based organizational structure in order to cope quickly with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team-based organization, team conflict is occurred. Thus, in recent year, there have been several accounts that point to the importance of conflict manage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tecedents of the conflict between team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team-based organizations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and total 33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firstly, only communication distortion, goal difference, and unfairness in inter-team characteristics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team conflict and inter-team cooperation. The result provides a meaningful managerial implication that the level of team conflict can be controlled if an organization would expand communication channels and employ strategies to resolve unfairness. Next, it was also found that team efficacy played moder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distortion, competition for scarce source, goal difference, and unfairness and team conflict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ask interdependence, goal difference, and unfairness and inter-team cooperation. All findings from this empirical research above-mentioned provide a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utilize team efficacy for managing team conflict as well as for improving inter-team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