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에 스마트폰의 사용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적 속성들을 제품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사용자의 채택과 실제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흥미로운 주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기능적 속성(functional attributes)과 개인 혁신성이 사용자의 채택의도와 실제사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스마트폰의 지각된 기능적 속성과 개인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과 유희성(Perceived Playfulness)에 각각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용자의 유희성은 PU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용자의 PU와 유희성은 스마트폰의 채택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의 채택의도는 실제사용도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채택의도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실제사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기능적 속성을 개선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지침들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some factors affecting user acceptance of Smartphone and to more precisely explain an individual's behavior of accepting Smartphone. The study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mponents(Functional Attributes, Personal Innovativeness) and basic factors of a revised TAM(Perceived Usefulness, Playfulness, Intention to Adopt, Actual Usage).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00 users across the nation who were using the Smartphone, and 698 responses were collected. Forty two of these responses had to be deleted because the respondent had not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correctly.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applied to the remaining 656 responses and the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hypothesis-tes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attributes of Smartphone and the personal innovativeness of Smartphone users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PU) and playfulness. Second, the perceived play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 Lastly, the intention to adop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tual u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