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re is any systematic realtionship between chemicals emission reduc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use Toxic Releases Inventory(TRI)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MOE) as proxy variables of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performance. The paper shows that chemicals emission reducing activities of the business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its short term(year t) financial performance(ROE). It also indicates that there are financial performance(ROE and ROA) differences between firms with low performance and firms with high performance in the emission reducing activities in year t. That is although the benefit generated by the business activities to reduce the emission through manufacturing process improvement, investment in facilities and replacement to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has effects on short term financial performance. Chemicals emission reducing activities of the business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its long term(year t+1, t+2) financial performance(ROE), but the chemicals emission reducing activities of the business has no effect on its long term(year t+1, t+2, t+3) financial performance(ROA & ROS) and there are no financial performance(ROE, ROA & ROS of year t+3) differences between firms which keep doing emission reducing activities for more than three years. The findings provide directly support to the hypothesis that although the ratio of chemicals emission to chemicals usage is decreasing, the chemicals emission reduction is not big enough to lead to long term financial performance since the amount of the chemicals usage keeps increasing.


화학물질 배출량은 주요 환경협약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화학물질에 대한 기업의 개선노력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환경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업장별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결과를 환경리스크 관리성과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화학물질 배출저감 실적은 t년도의 재무성과(ROE)에 양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t년도의 화학물질 배출저감 실적이 평균에 이상인 기업이 평균미만인 기업보다 재무성과(ROE와 ROA)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 및 주주들이 환경규제에 따른 파급효과를 관리하기 위한 활동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경영자의 환경리스크 관리활동을 위한 공정운영과 시설교체 등에 대한 투자를 이끌어 내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화학물질 저감실적이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물질 배출저감 실적이 t+1, t+2의 ROE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1, t+2, t+3년도의 재무성과(ROA, ROS)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3년간 화학물질 배출실적이 평균이상인 기업과 평균 미만인 기업의 (t+3)년 재무성과(ROE, ROA, ROS)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학물질 사용량 규제와 같이 화학물질 배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규제수준이 낮기 때문에 화학물질 사용량 증대에 따른 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제반비용이 상승하여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비용상쇄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생산공정 이전에 투입단계에서 화학물질 배출을 일으키는 물질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근본적인 성과개선을 위한 RoHS, WEEE, REACH 등과 같은 사전예방차원의 규제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